-
-
13
- 작성자
- 작성일2014.08.26
- 조회수2,398
-
-
11
- 작성자
- 작성일2014.08.26
- 조회수1,679
-
-
9
- 작성자
- 작성일2014.08.26
- 조회수1,399
-
-
7
- 작성자
- 작성일2014.08.26
- 조회수1,301
-
의학전문대학원 신경생물학교실 원무호 교수가 최근 열린 “2012 한국실험동물 국제학술대회”에서 (사)한국실험동물학회가 선정한 한국실험동물학술상을 수상하였다. 원무호 교수는 주저자로서 전년도에 발행된 실험동물 관련(in vivo) SCI(E) 논문의 최근 impact factor 총합이 가장 높은 논문게재자로 선정되어 이번 수상의 영예를 안게 되었다. 원무호 교수는 그 동안 노화, 뇌졸중, 실험동물 연구분야에서 수많은 국제 SCI급 논문을 게재하며 관련 연구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있다. 원무호 교수의 주요 약력은 다음과 같다. - 1958년생/2010년 부임 - 1981, 서울대(수의학사) - 1985, 서울대(수의학석사) - 1993, 서울대(수의학박사) - 1987, 한림대 의과대학 해부신경생물학교실 교수 - 2007~2010, 한림대 신경손상 및 재생연구소 소장 - 주요 연구분야 : 뇌허혈, 신경세포 사멸 및 보호, 신경재생, 중추신경계 노화
-
5
- 작성자
- 작성일2014.08.26
- 조회수1,637
-
의학전문대학원 미생물학교실 최종선 교수가 최근 발표한 연구 결과가 면역학 분야에서 높은 권위를 자랑하는 학술지에 하이라이트 논문(highlighted article)으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면역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은 최근 발간된 4월호에 최종선 교수의 논문을 게재하고 별도로 하이라이트 논문으로 선정, 홈페이지에 사진과 함께 이력을 자세히 소개하였다. “국제 면역약리학 저널”은 1년동안 게재되는 전 세계 300편의 논문 가운데 우수하고 획기적인 연구내용을 담은 2~3편을 엄선하여 하이라이트 논문으로 선정하고 있다. 이번에 선정된 최종선 교수의 연구내용은 인체에서 일어나는 항체 생성을 조절하는 주요 분자인 프로스타글란딘의 기능에 주목하여 그 중요성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결과를 발표한 것이다. 지금까지 B림프구의 항체 형성은 T림프구에 의해서 조절되는 것으로 잘 알려졌는데, 소포수지상세포가 결정적인 중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최종선 교수가 이번에 새롭게 밝힌 것이다. 특히, 이 연구결과는 자가면역질환이나 면역결핍질환 치료에 착안점을 제공하고 있으며, 병원균이나 암에 대한 백신 제작에도 응용되어 앞으로 획기적인 의료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가 지정한 지역거점사업단(MBMRC, 단장 이한수 교수)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었으며, 박사과정 조화정 원생이 제1저자로 참여하였다 . 최종선 교수는 지난 1998년 부임한 이래 면역학의 중요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에 꾸준히 매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연구결과물들을 미국과 국내에 기술이전하는 등 뛰어난 연구실적을 인정받는 한편, 기술료 수입에도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최종선 교수의 주요 약력은 다음과 같다. - 1966년생/1998년 부임 - 1988, 서울대(이학사-미생물학) - 1990, 서울대(이학석사-면역학) - 1995, 서울대(이학박사-면역학) - 1995~1998, 미국 Ochsner Hospital 박사후 연수 - 2006 - 2007 : 캐나다 몬트리올 임상의학 연구소 방문 교수 - 주요연구분야 : 세포면역학, 체액성면역학, 자가면역질환
-
3
- 작성자
- 작성일2014.08.26
- 조회수1,956
-
-
1
- 작성자
- 작성일2014.08.26
- 조회수1,475
-
의학전문대학원 재활의학과 이건재교수가 공역자 및 편역자로 참가한 스포츠 영양학 개론서인 ‘스포츠영양학 2판’과 ‘대학생을 위한 스포츠 영양학’ 두 권이 3월 1일 출간되었다. ‘스포츠영양학 2판’은 운동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하여 스포츠에 영양학적 원리를 적용하는 새로운 연구분야로서 1장에서 16장에 걸쳐 운동선수들에 필요한 영양분 섭취와 체중조절, 섭식장애 등을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대학생을 위한 스포츠 영양학’은 그림과 표, 주요 용어, 찾아보기 등을 통해 알기 쉽게 축약 구성한 영양학 교재로, 영양의 일반원리와 영양소 권장량, 근육 에너지원과 운동 대사, 스포츠 종목별 에너지 권장량, 음식의 소화와 흡수 등 페이지마다 운동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영양의 특수 역할을 설명하고, 최근 연구로부터 얻은 최신의 자료들을 제공했다. 이 두 책은 수도권 유수 대학의 체육과학 관련 학부의 전공 교재로 쓰여질 예정이며, 또한 식생활이 향상되어짐에 따라 만연한 비만, 당뇨, 고지혈증, 소아비만, 고혈중콜레스테롤에 대한 영양학적 접근과 운동처방을 활용하여 임상 현장 및 보건 현장에서 각종 예방 및 건강증진 활동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건재 교수는 “스포츠영양학의 역사는 짧지만 선수가 경기를 준비하는데 있어 빼놓을 수 없는 매우 중요한 필수요소이며, 앞으로 그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어 지도자나 선수에게 나침반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
-1
- 작성자
- 작성일2014.08.26
- 조회수1,817
-
의학전문대학원 산부인과 황종윤 교수가 올해 11회를 맞이하는 한미수필문학상에서 장려상을 수상했다. 이번 한미수필문학상에서 황종윤 교수는 임신 기간 중 골절상을 입은 후 태아의 건강과 자신의 건강 사이에서 고민하는 임신부와 이를 지지하고 격려해주는 산부인과 의사를 표현한 내용을 담고 있는 “아가야 사랑한다, 그리고 고맙다”라는 제목의 수필작품으로 장려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특히, 황종윤 교수는 이번에 받은 상금 전액을 태아 기형과 임신 합병증으로 인해 많은 경제적 어려움을 당하고 있는 임신부를 위해 강원대학교 어린이 병원 태아센터에 기부할 예정이다. 한편, ‘제11회 한미수필문학상’은 환자와 의사간의 신뢰 회복을 위한 목적으로 지난 2001년 처음 열린 문학상으로 해마다 200여편의 수준높은 작품들이 꾸준히 접수되어 이 중 총 10편의 작품들이 수상작으로 선정되고 있다. 황종윤 교수의 주요 약력은 다음과 같다. - 1970년생/2005년 부임 - 1998, 조선대(의학사) - 2005, 울산대(의학석사-산부인과) - 2007, 울산대(의학박사-산부인과/독성학) - 1999~2003, 서울아산병원 전공의 - 2003~2004, 서울아산병원 임상강사 - 주요 연구분야 : 산부인과학, 모성태아의학, 독성학
-
-3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14.08.26
- 조회수1,654